1. KT노동인권센터
  2. KT민주동지회페북
  3. 유튜브 투쟁영상
  4. 인간다운 KT를 만드는 사람들
  5. 규약 회원가입
  6. KT노동자 추모관
  7. KT 세노조 일파만파
  8. KT 노동조합
  9. 민주노동조합 총 연맹

산재율은 독일 4분의 1, 사망률은 4배 …‘산재 미스테리’

등록 :2016-06-26 21:22수정 :2016-06-27 09:18

 

산재율은 OECD 평균보다 낮지만 죽는 노동자는 압도적 1위
산재를 산재라 부르지 못하는 탓
실제 재해율, 발표치의 23배 추정

산재 많으면 보험료 올라가고
원청에선 재계약 끊어버려
광범위한 산재 은폐 부추겨 

현대중공업 하청노동자 김아무개(35)씨는 2014년 7월 전기 차단기가 내려져 있는 줄 알고 변전기 분리작업을 하던 중 감전사고를 당했다. 회사 쪽은 구급차를 부르지 않고 회사 차로 김씨를 병원에 데려갔다. 회사는 산업재해(산재) 처리를 하지 말고 공상 처리(건강보험으로 치료하고 회사 쪽이 별도 보상을 해주는 방식)를 하라고 요구했다. 김씨는 의사에게 “집에서 다쳤다”고 말해야 했다. 그는 “회사에서 산재 처리를 안 해주면 근로복지공단에 찾아가 직접 신청해야 하는데 그러면 이름이 알려져 다른 조선소에서도 일하지 못한다”고 말했다. 이른바 ‘산재 블랙리스트’다.

우리처럼 제조업 강국인 독일의 산재율은 2.65%(2011년 기준)다. 우리나라는 같은 해 0.65%였다. 독일보다 노동환경이 더 안전한 셈이다. 산재로 인한 사망률을 보면 독일은 10만명당 1.7명(사망만인율 0.17)이었다. 우리나라는 10만명당 7.9명이었다. 일하다가 다치거나 아픈 노동자는 독일의 4분의 1 수준인데, 죽는 노동자는 4배가 더 많은 것이다. 오이시디 평균과 비교해봐도 2013년 기준 우리나라 산재율은 0.59%로 전체 평균(2.7%)에 한참 못 미치지만, 산재사망률은 10만명당 6.8명으로 압도적 1위다. 우리나라 노동자들은 다치거나 병에 걸리는 과정 없이 갑자기 죽는다는 의미일까? 이 격차의 ‘비밀’은 바로 산재의 은폐다. 더 이상 숨길 수 없는 사망에 이르기 전, 다른 산재는 산재라 부르지 못하는 것이다.

최근 고용노동부는 고의로 산재를 은폐한 사업주를 과태료만이 아니라 형사처벌(1년 이하 징역)할 수 있도록 산업안전보건법을 개정하겠다고 입법예고했다. 하지만 노동계와 전문가들은 처벌 강화만으로는 만연한 산재 은폐를 근절하기 어렵다고 말한다.

00501957_20160626.JPG

■ 높은 산재율, 더 높은 산재은폐율 은수미 전 의원(더불어민주당)이 2011~2013년 사내하청 노동자의 건강보험 사용 내역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우리나라의 추정 산업재해율은 공식 재해율의 평균 23배에 이른다. 사내하청 노동자 38만8475명(이상 3년치 합계)이 3년 동안 병의원을 찾아 에스티(S-T)상병 관련 질병으로 진단받고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청구한 급여비가 50만원 이상인 경우를 취합해 분석한 결과다. 에스티상병은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코드 가운데 머리, 목, 가슴, 배, 허리, 어깨, 눈 등이 외부 요인에 의해 다치거나 중독된 경우를 말한다. 전문가들은 직장인이 앓는 에스티상병은 대부분 직업성 질병으로 본다.

이렇게 산재 은폐율이 높은 것은 산재 은폐를 부추기는 여러 제도적 허점과 고질적인 원·하청 구조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먼저 불합리한 산재보험료 산정 방식이 있다. 우리나라는 산재가 많이 발생하는 업종과 사업장에 산재보험료를 더 많이 부담하는 ‘보험료개별실적요율제’(개별요율제)를 적용한다. 산재가 적으면 보험료를 할인받는다. 임준 가천의대 교수(예방의학과)는 “건강보험은 질병 발생 위험이 큰 가입자에게 보험료를 더 많이 부담시키지 않는다. 사회적 위험을 공동체가 해결하자고 만든 사회보험이기 때문”이라며 “산재보험도 사회보험이다. 개별요율제는 사회보험의 연대적 원리와 보편적 가치에 위배된다”고 지적했다. 정부가 대형공사 입찰을 할 때 시행하는 입찰참가자격 사전심사제도(PQ)에서 재해율이 낮은 업체에 가산점을 주는 것도, 애초 취지와 달리 공사 수주경쟁이 치열한 건설 현장에선 산재 은폐를 부추기는 결과를 낳고 있다.

하청업체의 상황은 더 심각하다. 국가인권위원회가 2014년 12월 발표한 ‘산재 위험직종 실태조사’ 보고서를 보면 일터에서 다친 조선·철강·건설플랜트 하청노동자 343명 중 산재 처리가 된 사람은 36명(10.5%)에 그쳤다. 개인이 비용을 부담하거나 아예 치료를 받지 못했다는 사람도 122명(35.6%)이나 됐다. 나머지 185명(53.9%)은 원·하청업체의 비용으로 처리(공상처리)됐다. 산재처리를 하지 않은 이유를 물어보니 “원·하청업체의 불이익을 우려해서”라는 응답이 39.6%로 가장 많았고, “원·하청업체가 산재보험 처리를 못하게 해서”(29.4%)와 “산재보험 신청 절차가 복잡해서”(9.5%)가 뒤를 이었다.

2014년 11월 경기도 화성시 한 자동차 공장에서 용접작업을 하고 있는 노동자의 모습.  화성/김성광 기자 flysg2@hani.co.kr
2014년 11월 경기도 화성시 한 자동차 공장에서 용접작업을 하고 있는 노동자의 모습. 화성/김성광 기자 flysg2@hani.co.kr
박종식 연세대 사회발전연구소 연구원은 “원청업체는 산재 발생으로 고용부의 특별감독을 받게 돼 공사기간 등에 차질이 빚어지는 것을 매우 꺼린다”며 “하청업체에서 산재가 나면 벌점을 부여하고 반복되면 계약을 끊는다”고 말했다. 하청업체에서 사고 때 구급차를 부르지 않아 제 때 치료를 못하거나 기업과 짬짜미를 한 병원으로 노동자를 옮겨 공상처리하는 일들이 끊임없이 생겨나는 이유다.

■ 산재보험 제도 수술해야 산재 은폐를 없애려면, 먼저 산재보험 제도를 수술해 별도 절차가 없어도 노동자가 바로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현재는 노동자가 회사의 산재 확인을 받아 근로복지공단에 제출하면 공단이 산재 판정을 한 뒤 보험금을 지급한다. 임준 교수는 “병원에 온 노동자를 첫 진료 할 때 의사가 산업재해분류기준에 따라 산재보험을 적용할지 건강보험을 적용할지 판단하고, 이를 근거로 의사가 근로복지공단에 신고와 급여 청구를 하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산재보험료 개별요율제와 관련해서도 조기홍 한국노총 산업보건실장은 “산재 예방 효과가 검증되지 않았고 오히려 산재 은폐의 원인으로 지적돼왔다”며 “단기적으로는 하청의 산재를 원청에 포함시켜 보험료를 책정하고, 장기적으로는 전면개편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명선 민주노총 노동안전보건국장은 “노동자의 참여가 산재 은폐를 끊어낼 실질적 수단”이라며 “아무리 강력한 법과 정부의 관리 감독도 노동자의 일상적인 감시체제를 뛰어넘을 수 없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독일의 경우 원·하청 노동자가 모두 참여하는 노동자평의회가 산재 예방 등 노동자 건강을 보호하는 정책을 공동 결정하는 권한을 갖고 있다.

박종식 연구원은 “고용부의 이번 개정안처럼 형사처벌 조항 도입만으로는 큰 실효성이 없고, 오히려 은폐를 더 부추길 수 있다”며 “정부의 정책 목표를 ‘재해율 수치 낮추기’에서 산재를 많이 발굴해 보상하는 것으로 바꿔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은주 기자 ejung@hani.co.kr

번호
제목
글쓴이
공지 고용노동부의 kt특별근로감독 결과 발표에 대한 논평 imagefile
인권센터
31000   2012-05-22 2015-02-15 19:56
공지 [성명서] 이석채회장은 프로야구로 노동인권 탄압을 결코 감출 수 없다!! [청주지법CP판결문첨부] file
인권센터
28342   2013-01-11 2015-02-15 19:57
공지 박찬성팀장 cp퇴출프로그램 본사기획실행 폭로 양심선언 기자회견 imagefile
인권센터
23834   2012-09-13 2015-02-15 19:51
공지 퇴출수단으로 전락한 고과연봉제 법원에서 철퇴! [수원지법판결문2012나6377첨부] imagefile
인권센터
27304   2013-02-04 2015-02-15 19:58
공지 kt노동인권센터를 후원해주세요 1 imagefile
인권센터
26603   2013-02-27 2015-04-06 11:25
공지 KT노동인권백서 발간기념 집담회 개최 imagefile
인권센터
22250   2012-12-11 2015-02-15 19:50
공지 kt노동인권센터 홈페이지 운영 imagefile
최종관리자
26332   2011-10-05 2015-02-15 19:48
공지 "KT에 `퇴출대상자'프로그램" 폭로(종합)
인권센터
20206   2015-02-21 2015-02-21 17:06
공지 반기룡 전팀장 퇴출프로그램 실행 양심선언 기자회견(20110418)
인권센터
20005   2015-02-21 2016-05-11 22:34
공지 고용노동부에 대한 국민감사청구 접수(20150421) imagefile
인권센터
18389   2015-05-11 2015-05-11 12:44
공지 [성명서] KT부진인력퇴출프로그램(일명 CP) 의 불법성을 확정한 대법원 판결을 환영한다!!
인권센터
18054   2015-06-25 2015-06-25 23:07
공지 KT퇴출 프로그램의 진실 1부 - 나는 왜 해고됐는지 몰랐다!
인권센터
19231   2016-05-05 2016-05-12 16:02
공지 KT퇴출 프로그램의 진실 2부 - 나는 왜 해고대상자인가
인권센터
18718   2016-05-05 2016-05-12 16:03
공지 그녀는 왜 전봇대에 KT 퇴출프로그램 - SBS 현장21(11.5.17)
인권센터
18925   2016-05-05 2016-05-20 11:14
공지 반기룡 전팀장 CP퇴출프로그램 관련 양심선언 기자회견 영상(20110418)
인권센터
17667   2016-05-10 2016-05-20 11:17
공지 발로 뛰겠소? 114언니 어찌 쫒아냈노?(20110421방송)
인권센터
18171   2016-05-10 2016-05-12 16:04
공지 PD수첩 사랑합니다. KT - KT의 인력퇴출프로그램(20111011방영)
인권센터
17560   2016-05-10 2016-05-20 11:20
공지 청주MBC 시사매거진 창 "KT 그리고 살생부"(20121226방영)
인권센터
17930   2016-05-10 2016-05-12 16:06
공지 매년 수십 명 죽이는 CP프로그램을 아시나요? SBS CNBC 2013.10.13 방영
인권센터
18009   2016-05-10 2016-05-12 16:06
공지 뉴스타파 '노사상생 KT'...쫒겨나는 직원들(2014.6.17.방영)
인권센터
18307   2016-05-10 2016-05-12 16:06
공지 MBC다큐스페셜_전봇대 가장 희망퇴직이야기(2014.9.16방영)
인권센터
18028   2016-05-10 2016-05-20 11:22
공지 뉴스타파_KT구석찍기를 아시나요?(2015.7.23.방영)
인권센터
17860   2016-05-10 2016-05-12 16:07
공지 뉴스타파_12년 후...실패한 민영화 KT(2014.6.27.방영)
인권센터
17655   2016-05-10 2016-05-12 16:07
공지 뉴스타파 목격자들_해고가 쉬워지는 나라, 당신의 의자는 안전할까?(2016.4.29.방영)
인권센터
17763   2016-05-10 2016-05-12 16:08
75 황창규 회장은 답해야 한다!
인권센터
6349   2016-10-25 2016-10-25 12:05
서울중앙지방법원은 2016년9월28일 선고를 통해 KT본사 노사팀 서승O와 보안팀(경비팀) 송기O의 불법행위에 따른 손해배상을 인정하는 판결을 다음과 같이 하였다. 서 울 중 앙 지 방 법 원 판 결 사 건 2014가단5251788 손해배상(기) 원 고 조태욱 피 고 1. 서승O 2. 송기O 3. 주식회사 케이티 판 결 선 고 2016. 9. 28. 주 문 1. 원고에게, 가. 피고 서승O, 주식회사 ...  
74 강남본부 평택지사 직원 자살사건 진상규명을 촉구한다!
인권센터
6710   2016-08-22 2016-08-22 16:06
황창규 회장 취임 이후에도 kt에서 죽음의 행렬은 계속 이어지고 있다. 강남본부 평택지사 SMB고객2팀 소속 노동자 한명이 2016.8.19(금) 오후 18시경 자살한 사망사건이 발생하였다. 화성시 봉담 장안대학 근처 주차장 차내에서 번개탄을 피워놓고 생을 마감하였다고 한다. 황창규회장이 KT에 온지 89명째(재직35, 명퇴53, 사내계열1) 사망자가 현재까지 발생하였으며, 올해에만 벌써 ...  
산재율은 독일 4분의 1, 사망률은 4배 …‘산재 미스테리’ image
인권센터
6598   2016-06-27 2016-06-27 10:14
산재율은 독일 4분의 1, 사망률은 4배 …‘산재 미스테리’등록 :2016-06-26 21:22수정 :2016-06-27 09:18 산재율은 OECD 평균보다 낮지만 죽는 노동자는 압도적 1위 산재를 산재라 부르지 못하는 탓 실제 재해율, 발표치의 23배 추정 산재 많으면 보험료 올라가고 원청에선 재계약 끊어버려 광범위한 산재 은폐 부추겨 현대중공업 하청노동자 김아무개(35)씨는 2014년 7월 전기 ...  
72 '하청사고 원청이 책임'·산재은폐 형사처벌…개정법 재추진 image
인권센터
7864   2016-06-27 2016-06-27 10:12
'하청사고 원청이 책임'·산재은폐 형사처벌…개정법 재추진 노동부 "19대 국회서 폐기된 산업안전보건법 개정안 제출 예정" (세종=뉴스1) 한종수 기자 | 2016-06-17 09:00:00 송고 고용노동부가 최근 발생한 '구의역 스크린도어 사망사고', '남양주 지하철 공사 현장 가스폭발' 등을 계기로 하청 근로자 보호를 위해 원청의 산재예방 의무를 강화한다. 노동부는 이러한 내용이 담긴 ...  
71 "우리끼리 해결하자" 산재은폐 도구 된 공상처리... 보험료 할증 등 이유로 산재 미접수_사업주와 합의했어도 신청 가능 image
인권센터
8034   2016-06-27 2016-06-27 10:14
"우리끼리 해결하자" 산재은폐 도구 된 공상처리 보험료 할증 등 이유로 산재 미접수…사업주와 합의했어도 신청 가능 입력 : 2016-06-06 15:34:38 ㅣ 수정 : 2016-06-06 15:34:38 --> [세종=뉴스토마토 김지영기자] 경기도 내 한 인터리어업체에서 일하던 이모(26·남)씨는 지난 1월 자재 절삭작업을 하다가 기계에 손이 끌려들어가 손가락 4개가 절단되는 사고를 당했다. 이후...  
70 박근혜정권의 쉬운해고에 맞서 광화문사옥 앞에서 진행한 KT퇴출사례 전시회(20160128_20160512) imagefile
인권센터
6361   2016-05-20 2016-05-20 16:14
고용노동부가 드디어 2016.1.22.자 양대지침을 발표하였다. 양대지침이라함은 일방적인 저성과자해고제 및 취업규칙불이익변경을 의미한다. 취업규칙불이익변경의 핵심 내용은 성과연봉제와 임금피크제를 사용자가 일방적으로 도입할 수 있도록 한 지침이다. 박근혜대통령은 저성과자해고제는 절대로 '쉬운해고'가 아니라고 청와대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2016.1.25 강변하였다. 한걸음 더 나아가...  
69 저성과자 해고제와 KT퇴출프로그램의 유사성 image
인권센터
7234   2016-01-28 2016-01-28 10:24
불붙은 ‘양대지침’ 논란… 저성과자 해고 전문 KT 사례 들여다보니 입력:2016.01.28 05:00 수정:2016-01-28 09:25 MBC 다큐스페셜 ‘전봇대 가장-희망퇴직 이야기’ 편 방송 장면 [쿠키뉴스=김민석 기자] 업무능력이 현저히 낮은 저성과자에 대한 해고가 가능하게 하고, 취업규칙 변경 요건 완화를 골자로 한 정부의 ‘양대 지침’이 25일부터 노...